본문 바로가기
라이프-Life

경기도 천주산의역사

by lineman 2024. 3. 15.
728x90
반응형

 

***********과 내촌면 경계에 위치한 천주산(天柱山)은 해발 638m이다. 산 정상부에 하늘을 받치는 기둥처럼 우뚝 솟은 바위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옛날 이 지역 주민들이 가뭄이 들면 기우제를 지내던 곳이기도 하다.

 

포천천주산은 어떤 역사를 가지고 있나요?

조선시대 세종대왕 때 영의정을 지낸 하연(河演) 선생이 이곳 출신이며, 조선 후기 실학자 이중환(李重煥)은 『택리지』에서 “영평현 남쪽 15리 지점에 천주사라는 절이 있다.”고 기록하였다. 또한 19세기 말엽 천주교 박해 당시 순교자 김대건 신부의 증조부인 김진후(金震厚) 성인이 1839년 기해박해 때 체포되어 처형당한 곳이기도 하다.

 

왜 하필이면 지금으로부터 약 400년전인 1791년에 일어난 ‘신해박해’인가요?

당시 가톨릭 신자였던 윤지충(바오로)과 권상연(야고보) 등이 제사를 폐지하고 신주를 불태운 사건이 발생하였는데, 이를 계기로 조정에서는 유교 중심의 사회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대대적인 박해를 일으켰다. 이후 100여 년 동안 지속되었던 신유·기해·병오·병인박해 중에서도 특히 병인박해는 한국 교회 사상 최대 규모의 박해였다. 이때 많은 성직자와 신도들이 희생되었는데,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성모 마리아에게 기도하던 한 소년이 붙잡혀 참수형을 당하였고, 훗날 프랑스 선교사들을 도와 선교활동을 펼쳤던 김대건 신부 역시 같은 해 9월 16일 새남터에서 순교하였다.

 

김대건 신부는 어떻게 되었나요?

순교 후 시신은 한강변 모래사장에 버려졌다가 인근 양화진 외국인 묘지에 안장되었다. 현재***********에 소재한 성역화된 성당 안에는 김대건 신부의 유해 일부가 안치되어 있다.

 

728x90
반응형

'라이프-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원도 가리왕산의역사  (0) 2024.03.15
강원도 민둥산의역사  (2) 2024.03.15
경기도 청량산의역사  (2) 2024.03.15
경기도 매봉산의역사  (0) 2024.03.15
경기도 개명산의역사  (2) 2024.03.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