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Life
강원도 광덕산의역사
lineman
2024. 3. 20. 05:38
728x90
반응형

*********** 광덕리에 위치한 광덕산은 해발 1046m로 산 정상에서는 북한강과 춘천시 일대 그리고 경기도 가평군 청평호 주변까지도 조망할 수 있다. 또한 산세가 험하지 않아 등산하기 좋은 산이다. 이처럼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가진 광덕산이지만 역사적으로는 아픔이 많은 곳이기도 하다.

광덕산이라는 이름은 어떻게 유래되었나요?
광덕산(廣德山)이란 이름은 조선시대 때 중국 사신들이 이곳에 이르러 산 위에 펼쳐진 너른 들판을 보고 감탄하면서 붙인 이름이라고 한다. 당시 우리나라 산천을 유람하던 명나라 사신 주지번 등이 “이곳은 마치 덕을 쌓은 사람이 사는 마을 같다”고 하여 ‘광덕리’라 칭했다고 전해진다.

광덕산 전투는 어떤 전투인가요?
6·25전쟁 초기인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경 북한군 제4사단 병력이 38선을 넘어 남침하였다. 국군은 이날 오전 8시에 서울을 빼앗기고 말았다. 이때 유엔군 사령관 맥아더 장군은 한강 이남으로의 철수를 명령하였고, 미 제24사단 21연대 1대대장이었던 로버트 리지웨이 중령은 부대를 이끌고 오산 죽미령 고개에서 북한군 전차부대와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그러나 결국 패퇴하게 되었고, 미군 2개 사단 이상의 손실을 입게 되었다.

광덕산전투 이후 한국전쟁이 어떻게 진행되었나요?
미군에게 큰 피해를 입은 연합군은 낙동강 방어선 구축에 전력을 기울였다. 한편 미국 극동군사령부에서는 1951년 5월 말경 육군참모총장 채병덕 소장을 해임하고 후임으로 백선엽 대장을 임명하였다. 이어 같은 해 7월 9일 부산 다대포 북방 22km 지점에 있던 수영비행장을 확보하라는 명령을 하달하였다. 이를 위해 해군작전사령부는 해병대 상륙함정들을 동원하여 해상봉쇄 작전을 전개하였다. 하지만 적 해안포 진지로부터 집중사격을 받아 함정 대부분이 침몰하거나 파손되었다. 이로 인해 군단장 신현준 중장 이하 지휘부가 포로가 되고 함대사령관 최용남 준장 역시 전사했다.

오늘은 이렇게 광덕산에서의 아픈 역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나라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친 순국선열분들께 감사하며 하루를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광덕산의 역사였습니다.
728x90
반응형